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가 시행되기 때문이에요.
이르면 7월에 관련 상품이 출시될 예정이에요.
어떻게 활용하면 될까요?
* 사망보험금 유동화란? *
종신보험의 핵심 기능은 사망보장이에요.
가입자가 사망하면 남아있는 가족에게 사망보험금이 지급되거든요.
종신보험을 내가 아닌 가족을 위한 보험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유예요.
사망보험금 유동화란 , 이 사망보험금을 유동화해 살아생전에 매달 연금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거예요.
주택연금과 비슷해요.
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은 연금형과 서비스형 2가지가 제공될 예정이에요.
* 연금형 *
사망보험금을 유동화해 연금으로 지급해요.
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는 유동화율과 연금 지급 시기에 따라 달라져요.
연금 개시 시점은 65세부터 1세 단위로 , 유동화 비율은 60 ~ 90%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.
금융당국은 가입자가 매달 낸 보험료의 103 ~ 204% 수준의 연금을 매월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해요.
만약 연금 받는 기간에 사망하게 되면 , 연금 잔존 기간에 대해서는 사망보험금으로 다시 전환해 지급해요.
예를 들어 , 가입자가 사망보험금 1억 원 보장 상품을 40세에 가입해 65세부터 20년 동안 월 151,000원씩 총 36,240,000원의 보험료를 냈다고 가정해 볼게요.
자신이 보장받은 1억 원 사망보험금의 70%를 유동화하고 , 65세부터 20년 동안 연금을 받겠다고 선택하면 , 20년 동안 매월 180,000원의 연금을 받게 돼요.
총수령액은 43,700,000원으로 낸 보험료의 121%에요.
즉 , 총납입액보다는 많지만 , 사망보장금보다는 적은 금액을 '생전에' 연금으로 받게 되는 거예요.
보험계약대출과 달리 이자 부담은 없어요.
유동화율을 높일수록 , 연금을 늦게 받을수록 매월 받는 연금이 많아져요.
위 사례에서 연금 시기를 70세로 늦추면 월 20만 원으로 연금액이 올라가요.
* 서비스형 *
서비스형은 사망보험금을 유동화해 연금 대신 노후에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로 지급해요.
노후에 필요한 요양, 간병, 주거 서비스, 건강관리 서비스 등을 받는 거죠.
* 누가 전환할 수 있는가? *
종신보험 가운데 금리 확정형 종신보험에 가입한 사람만 전환할 수 있어요.
계약 기간은 10년 이상, 납부 기간은 5년 이상 되어야 해요.
보험금 유동화가 어려운 변액, 금리연동형 , 단기납종신보험은 가입이 어려워요.
9억 원 이상 초고액 사망보험금의 보험 상품도 제외돼요.
또한 신청 시점에 보험계약대출(약관대출)이 없어야 해요.
'경제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토스 머니라운지> 상속인 자격이 박탈될 수도 있다? (28) | 2025.03.25 |
---|---|
<토스 머니라운지> 종합부동산세 모든 부동산에 부과되나?? (13) | 2025.03.24 |
<토스 머니라운지> 금리하락기에 대출과 예금의 금리 차이가 작아진다?? (17) | 2025.03.21 |
<토스 머니라운지> 국민연금 , 더 내고 더 받는 방향으로 개편된다? (24) | 2025.03.20 |
<토스 머니라운지> 뱃속 태아도 상속 받을 수 있을까요?? (11) | 2025.03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