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2

<토스 머니라운지> 일본 엔화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된다? 일본 엔화도 안전자산으로 분류돼요.금 말고 다른 안전자산은 뭐가 있을까요??* 주식이나 채권, 현금?? *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으면 전쟁 통에 회사들이 다 망할 수 있을 것 같고요.현금을 가지고 있자니 전쟁 중에 정부가 돈을 많이 찍어내면 돈 가치가 떨어질 수 있을 것 같아요.땅이나 집을 사자니 피난 다닐 때 쉽게 팔아 쓸 수가 없을 것 같고요. 이렇게 이것 빼고 저것 빼고 남는 게 금이나 은일 거에요.그래서 금을 안전 자산이라고 불러요.*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하나요? *단 , 안전자산은 안전한 자산이지 가격이 잘 오르는 자산은 아니에요.가격이 잘 오르는 건 반대로 잘 떨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오히려 가격이 잘 안 오르는 게 안전자산일 가능성이 크기도 하고요.그러니 안전자산에 투자하면 돈을 많이 벌 수.. 2025. 4. 7.
<토스 머니라운지> S&P500 , 나스닥100 ETF 투자 시 총보수를 비교해 봐야할까? 총보수가 낮은 ETF가 투자에 유리하기 때문에 비교해 봐야 합니다.최근 미국대표지수 투자에 관한 관심이 뜨거워요.국내 투자자들은 특히 S&P500 , 나스닥 100에 많이 투자를 합니다* 미국대표지수 ETF ,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? *ETF를 선택할 때는 통상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게 되는데요.바로 추적 오차(괴리율), 거래 유동성, 그리고 거래비용이에요.다행히 국내 주요 운용사들의 미국 대표지수 ETF들은 거래량도 충분하고 지수 추적도 정확해 , 괴리율이나 유동성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어요. 그렇다면 결국 투자자의 실질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거래비용이 ETF 선택의 핵심 기준이 될 수 있어요. ETF 거래 비용은 매일 ETF의 순자산가치(NAV)에서 자동으로 차감돼요.즉 , 투자자가 별도로 .. 2025. 4. 3.
728x90